반응형
`7의 개수`
문제 설명
머쓱이는 행운의 숫자 7을 가장 좋아합니다.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7이 총 몇 개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
입출력 예 #1
- [7, 77, 17]에는 7이 4개 있으므로 4를 return 합니다.
입출력 예 #2
- [10, 29]에는 7이 없으므로 0을 return 합니다.
code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[] array) {
int answer = 0;
List list = new ArrayList<>();
String str = Arrays.toString(array);
for (char item:str.toCharArray()) {
answer+= (String.valueOf(item).contains("7"))? 1:0;
}
return answer;
}
}
String str = Arrays.toString(array);
- 주어진 정수 배열(array)을 문자열로 변환합니다.
for (char item:str.toCharArray()) { ... }
- 문자열(str)을 문자(char) 배열로 변환한 후, 배열의 각 요소(item)를 반복문으로 처리합니다.
String.valueOf(item).contains("7")
- 각 요소(item)를 문자열(String)로 변환한 후, 해당 문자열이 "7"을 포함하는지 검사합니다.
answer+= (String.valueOf(item).contains("7"))? 1:0;
- 만약 해당 문자열이 "7"을 포함하고 있다면, answer 변수에 1을 더해줍니다.
반응형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, java (0) | 2023.03.17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영어가 싫어요 - java (0) | 2023.03.16 |
[프로그래머스]숨어있는 숫자의 덧셈 (2) - java (0) | 2023.03.15 |
[프로그래머스]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- java, python (0) | 2023.03.15 |
[프로그래머스]k의 개수 - java, python (0) | 2023.03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