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
문제 설명
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작성해 주세요.
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-1을 담아 반환하세요.
입출력 예#1
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. 따라서 [5, 10]을 리턴합니다.
입출력 예#2
arr의 모든 원소는 1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.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[1, 2, 3, 36]을 리턴합니다.
입출력 예#3
3, 2,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.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[-1]을 리턴합니다.
java code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List<Integer> solution(int[]arr, int divisor){
List<Integer> list = new LinkedList<>();
Arrays.sort(arr);
for (int num : arr) {
if (num % divisor == 0 ){
list.add(num);
}
}
return list.isEmpty()? Arrays.asList(-1):list;
}
}
마지막에 오름차순 정렬을 해야 하므로 arr을 정렬하고 반복문을 통해 divisor과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list에 담는다.
else list.add(-1)을 하게 되면 입출 예1 번의경우 [5,-1,-1,10]가 되고 예제 3번의 경우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없기 때문에 리스트[]가 비게 된다.
삼항 연산자를 통해 list가 비어있다면 Arrays.aslist(-1) 을 넣어준다.
python code
def solution(arr, divisor):
lst = []
for i in arr:
if i%divisor == 0:
lst.append(i)
if len(lst)==False :
lst.append(-1)
return sorted(lst)
반응형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7의 개수 - java (0) | 2023.03.15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숨어있는 숫자의 덧셈 (2) - java (0) | 2023.03.15 |
[프로그래머스]k의 개수 - java, python (0) | 2023.03.12 |
[프로그래머스]가까운수 - java, python (0) | 2023.03.12 |
[프로그래머스]2차원으로 만들기 - java, python (0) | 2023.03.11 |
댓글